CPI2 8월 14일 국내증시 체크리스트: 금리 인하 기대, 반도체·OLED 모멘텀과 업종 점검 미국 7월 물가가 예상 범위로 나오며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고, 국내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강하게 반등했다. 예비판결 단계지만 미국 ITC의 BOE 제재 이슈가 OLED 밸류체인에 우호적으로 작용했고, 항공·인바운드는 환율 완화와 수요 회복으로 체력이 붙었다. 반면 엔터·화장품은 실적 눈높이 조정과 밸류 부담이 겹치며 조정이 이어졌다. 금리·CPI: 9월 인하 기대와 달러 약세미국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2.7%로 헤드라인이 컨센서스와 대체로 부합했고, 근원은 3.1%로 다소 높게 나왔지만 시장은 둔화 방향성을 확인했다. 이 여파로 9월 연준의 첫 인하 가능성이 85%대에서 90%대 초반으로 높아졌고, 일각에선 0.5%포인트 빅컷 발언까지 거론되며 단기 기대를 자극했다. 국내 환율과 .. 2025. 8. 14. 8월 13일 국내증시 체크리스트: CPI 2.7%, 금리 인하 베이스 강화, HBM3E·MASGA·중국 H20 리스크 점검 미국 CPI가 2.7%로 나오며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더 커졌고 성장주가 재차 강세를 보였다. 국내는 외국인 수급이 양도세 50억 기준 이슈와 맞물려 장중 방향성이 뒤집히며 변동성이 확대됐다. 오늘은 반도체 체인의 펀더멘털과 지정학, 조선의 정책 변수, 석유화학의 원가 변수까지 함께 점검해 종목·섹터별 선별 접근이 유효하다.CPI 2.7%·금리인하 94%: 미국증시·지표미국 헤드라인 CPI는 2.7%, 코어는 3.1%로 확인돼 예상 대비 부담이 크지 않았고,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높아지면서 나스닥과 S&P500이 신고가를 경신했다. 금리 하락 수혜가 성장 대형주와 중소형으로 고르게 확산됐고 반도체 지수도 강했다. 물가 세부 항목에선 항공료 상승 등 변동 요인이 있었으나, 시장은 연내 복수 차례 인하 .. 2025. 8.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