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인 뉴스

HBM·보안·면세·GLP-1까지: 이번 주 시장을 흔든 이슈와 수혜 종목 지도 (2025.09.22)

by normal-tips 2025. 9. 22.

엔비디아-인텔 50억달러 제휴, 경구용 위고비 16.6% 감량, 인천공항 면세점 철수, 해킹 대응 강화 등 핵심 이슈와 국내·해외 수혜 종목을 한 번에 정리합니다. 이번 주 시장은 엔비디아-인텔 50억달러 투자, KT·롯데카드 해킹, 인천공항 면세점 철수, 경구용 위고비 임상이 동시에 맞물리며 섹터 로테이션이 빨라졌어요. 핵심 뉴스의 팩트 체크와 수혜·리스크를 표로 정리하고, 국내·미국 관련 종목까지 한 번에 담았어요. 결론부터 말하면 반도체 대형·소부장과 보안·로봇·일부 바이오의 탄력은 이어지되, 자동차·일부 리오프닝은 선별 대응이 좋아 보여요.

 

반도체·보안 이슈가 겹친 한국 증시 분위기

반도체 핵심 업데이트

엔비디아가 인텔에 50억달러 지분 투자와 PC·데이터센터 칩 공동 개발을 발표하면서 인텔·장비주가 강세를 보였죠. 이 딜은 인텔의 경쟁력 회복과 엔비디아의 생태계 확장을 동시에 노리는 카드로 해석돼요. 공시 수준의 보도와 상세 조건은 매체별 보도 차이가 있으나, 규모·가격(주당 $23.28)과 공동 개발 방향성 보도가 확인돼요. 

국내에서는 HBM3E 12단 퀄 통과 보도와 메모리 빅사이클 논의가 이어졌고, 외국인 현·선물 수급 변화와 소부장 동반 관심으로 확산돼요. 업계·증권 리포트 기반 요약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핵심 포인트 내용 관련 종목(국내/해외)
엔비디아-인텔 제휴 지분투자 약 $5B, PC·데이터센터 칩 공동 개발 보도 INTC, NVDA, ASML, AMAT / 국내: HPSP, 파크시스템스, 피에스케이
HBM3E·HBM4 경쟁 HBM3E 12단 퀄 통과 보도, HBM4 공급 경쟁 구도 점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장비: 하나마이크론, 코미코, 유니셈
수급 9월 외국인 전기전자 순매수 확대, 업종 과열 구간 차익혼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외국인 지분율·순매수 흐름은 반등 추세가 유지되는 모습이에요. 세부 수치와 맥락은 아래 참고했어요. 

 

보안·전자결제(해킹 테마)

KT·롯데카드 대규모 침해 이후 정부가 합동 대응과 근본 대책을 예고했어요. 유출 범위에는 민감 결제정보까지 포함된 사례가 공표되며 정책·예산 확대 가능성이 부각됐죠. 월요일(9월 22일) 오전 관계부처 회의가 예정됐다는 보도도 있어요. 보안 솔루션·인증·관제, 결제 인프라 관련주의 단계적 수혜가 기대돼요. 

세부 포인트 이슈 관련 종목 예시
규제·정책 정부 합동 대응 및 근본 대책 예고 지니언스, 한컴위드, 한국정보인증, 모니터랩, 싸이버원
전자결제 스테이블코인·결제 테마 동반 강세 구간 관찰 NHN KCP, 다날, 더즌

해킹 관련 대응 기조와 테마 분화는 당일 뉴스 변동성이 크니, 체커(관제·인증·MFA·암호화) 중심 코어를 두고 확산주는 분할 접근이 좋아요. 해당 섹터 강세 관찰은 리포트 요약에도 정리되어 있어요.

 

면세점·리오프닝 체크

호텔신라의 인천공항 DF1(화장품·향수 등) 영업 중단 공시로 2026년 3월 17일 종료가 제시됐고, 위약금 규모(약 1,900억 원) 추정이 나오며 중장기 손익 개선 기대가 제기돼요. 경쟁 구도 측면에서 신세계의 선택지와 공항 측 재입찰·조건 변경 여부가 핵심이에요. 

쟁점 시사점 관련 종목
철수 영향 적자 사업 정리로 2Q26 이후 손익 개선 가능성 호텔신라, 신세계, 현대백화점, 글로벌텍스프리

국내 리포트 요약 역시 같은 맥락을 제시해요(손익 +1,000억 원 내외 추정 등). 다만 실제 개선 폭은 재계약 조건과 객수 회복에 좌우돼요.

 

바이오(GLP-1) 업데이트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25mg(오아시스 4)에서 치료 준수군 64주 16.6% 체중감량 결과가 동시 다발적으로 공개·보도되었죠. 주사형 위고비 대비 유사한 유효성 신호가 확인되며 섹터 심리를 개선했어요. R&D·자금조달 환경도 금리 인하 국면과 맞물려 완만히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어요.

키 포인트 내용 관련 종목
임상 데이터 경구 25mg, 64주 16.6% 감량(준수군), 안전성 프로파일 유사 노보노디스크(ADR), 일동제약, 한미약품, 올릭스, 리가켐바이오

국내 바이오 전반은 금리·정책 모멘텀과 함께 스텝업하고 있어요. 다만 개별 파이프라인 리스크와 밸류에이션은 개별 검증이 필요하죠. 관련 요약은 일일 시황에도 반영돼요. 

 

AI·양자·원전 MOU

미·영 ‘테크 번영 협정(Technology Prosperity Deal)’ MOU가 발표되며 AI·양자·원전 협력이 구체화됐어요. 비구속적 성격의 양해 각서지만, 양국의 공동 기준·인력·인프라 협력 의지가 확인돼 관련 테마의 스토리텔링을 강화해요. 

국내에서는 양자암호·원전 장비·인증 인프라 등으로 스필오버가 기대돼요. 관련 흐름은 일별 리포트에도 포착돼요. 

 

자동차 관세 리스크

현대차 2025 가이던스는 매출 성장 상향에도 영업이익률 6~7%로 하향 제시되며 관세 25% 가정이 부담으로 남았죠. 관세 15% 전환 시에도 손익 훼손이 유의미해, 관세 협상 결과가 밸류 리레이팅의 선결 변수로 보입니다.

체크포인트 의미 관련 종목
관세 협상 확정 전까지 미국 판매 인센티브 확대·믹스 개선 필요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종목 바스켓 요약

테마 코어 확장(단기) 해외 레퍼런스
반도체 대형/소부장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PSP, 파크시스템스, 피에스케이, 하나마이크론, 코미코 NVDA, INTC, ASML, AMAT
보안·인증·관제 지니언스, 한컴위드, 한국정보인증 모니터랩, 싸이버원, 아이씨티케이 OKTA, PANW
면세·백화점 호텔신라, 신세계 현대백화점, 글로벌텍스프리 LVMH(레퍼런스)
바이오(GLP-1) 한미약품, 리가켐바이오 올릭스, 셀트리온제약, HK이노엔 NVO(ADR), LLY
로보틱스/피지컬 AI 로보티즈, 로보스타 에스피시스템스, 인탑스 IRBT(레퍼런스)
자동차·부품(관세)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GM, F

 

로보틱스 및 현대차 밸류체인, 면세점 이슈 등은 일중 변동성이 커요. 리포트 코멘트와 질의응답 논지는 다음 장에서 더 자세히 다뤘어요.

 

전략 정리

  • 대형 반도체는 코어 보유, 소부장은 분할 매수·이익 실현 병행.
  • 보안은 정책 모멘텀을 확인하며 인증·관제 중심으로 코어 설정.
  • 면세·리오프닝은 공항 재입찰 조건·객수 회복 데이터 확인 전까지 보수적.
  • GLP-1은 임상·허가 이벤트 일정과 밸류를 병행 점검.
  • 자동차는 관세 확정 전까지 방어적 포지셔닝, 부품·물류는 실적 추적.

주의 및 팩트체크

  • 일부 보도(메타 신제품, 특정 가격·물량 수치 등)는 행사·기업 발표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요. 자료상 확인 불가 또는 추정 수치는 본문에 반영하지 않았어요.
  • 미·영 MOU는 비구속적 양해각서 성격으로, 세부 집행·투자 규모는 기업별 발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