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8일, 서울과 경기, 인천을 오가는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또 한 번 오릅니다. 이번 인상은 많은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키울 것으로 보이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교통비 절약을 위한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수도권 지하철 요금, 얼마가 오르나?
- 성인(교통카드 기준): 기존 1,400원 → 1,550원 (+150원 인상)
- 청소년: 800원 → 900원 (+100원 인상)
- 어린이: 500원 → 550원 (+50원 인상)
- 현금 1회권: 성인·청소년 1,650원, 어린이 600원
요금 인상은 10km 이내 기본요금에 적용되며, 거리별 추가 요금 체계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왕복 3,000원 시대, 월 교통비 얼마나 오를까?
이제 수도권 지하철을 왕복 이용할 경우 3,100원이 필요합니다.
월 22일 출퇴근 기준으로 계산하면,
- 기존: 약 61,000원
- 인상 후: 약 68,000원
즉, 한 달에 6,000원 이상이 더 들어가게 됩니다
왜 오르나? 인상 배경
이번 인상은 철도 운영기관의 누적 적자와 안전 투자 확대 필요성 때문입니다.
2023년 10월에 이어 약 1년 8개월 만의 추가 인상으로, 서울시와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전역에서 동시에 시행됩니다135.
교통비 부담,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1. 기후동행카드
- 서울·수도권 일부에서 지하철·시내버스를 무제한 이용 가능한 월간 정기권
- 19~39세 청년: 55,000원/월
- 40세 이상: 62,000원/월
2. K-패스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 일부 환급
- 청년(19~34세): 30% 환급, 일반인은 20% 환급
- 제휴 신용카드 사용 시 추가 10% 할인 가능
두 상품 모두 월 이용 횟수와 비교해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통카드 vs 현금, 무엇이 유리할까?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현금보다 100원 저렴하고, 환승 할인 등 다양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교통카드 사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마치며
물가 상승과 함께 대중교통 요금도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은 많은 시민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지만,
기후동행카드, K-패스 등 다양한 혜택을 잘 활용하면 교통비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출퇴근 패턴과 월 이용 횟수를 꼼꼼히 따져보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해보세요!
여러분의 교통비 절약 노하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