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2025년 7월 22일 증시 브리핑: 오늘의 핵심 이슈와 시장 전망

by normal-tips 2025. 7. 23.

2025/7/22 증시 일일시황 총정리 일러스트

2025년 7월 4주차 증시 포커스: 실적, 관세, AI… 흔들리는 기대와 현실 사이

7월 넷째 주 국내외 증시는 복합적인 경제 변수와 정치적 요인이 맞물리며 변동성을 확대했습니다. 미중 통상 협상 데드라인, 주요 기술주의 실적 발표, 산업재 중심의 수출주 재평가, 전력·AI 투자 이슈 등 무게 중심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에 주요 이슈를 정리합니다.

 

■ 글로벌 증시: 스타게이트 난항 속에도 실적은 '견조'

미국 증시는 S&P500 지수가 6,300pt를 넘기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AI 모멘텀 둔화와 통상 마찰 우려로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특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 주도 AI 투자 프로젝트)**의 지연 보도는 시장 기대를 꺾었습니다. 데이터센터 계획 축소, 파트너 간 협의 난항 등으로 엔비디아, AMD, 마이크론 등 AI 수혜주 일부는 조정세에 들어갔으며, 한국 원자력·전력기기 테마주도 차익 실현이 이어졌습니다.

반면 미국 실적 시즌은 기대 이상입니다. 현재까지 발표한 기업 중 약 80%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UBS와 JPMorgan은 실적 자체가 관세·정책 리스크를 상쇄하는 주요 요인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Tech·하이베타 종목은 단기 과열권에 접어들었으며, 숏커버링 중심의 기술적 반등이 많아 조정 가능성에도 유의가 필요합니다.

 

■ 국내 증시: 호재 비껴간 코스피, 무역 변수 재부각

국내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가 9거래일 만에 꺾이면서 코스피는 3,200선을 다시 내줬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대형 반도체주는 단기 피로감과 실적 발표 전 관망심리로 하락했으며, 전력기기·방산·원전 관련주도 실적 부진 및 공공입찰 참여 제한 이슈로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한편, 7월 25일 예정된 한미 2+2 통상협의가 향후 8월 관세 발효 여부를 좌우할 중대 이벤트로 부상했습니다. 미국은 올해 하반기 반도체, 자동차, 제약 중심의 추가관세 부과를 시사한 반면, 유럽연합은 보복 조치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어 글로벌 교역 갈등이 다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산업별 핵심 이슈 정리

1. AI/반도체

  • 오픈AI-소프트뱅크 협업 삐걱,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후퇴
  • 엔비디아는 사전 조정, HBM 수급 이슈·GPU 확보 경쟁으로 긴장 지속
  • 한국은 삼성·하이닉스 매수세 둔화, 장비주까지 조정
  • 100조 산업기금 법안 통과, LG 엑사원과 퓨리오사AI 협업 등은 국내 AI 산업의 반사이익을 자극

2. 스마트기기 (폴더블폰)

  • 삼성전자, 갤럭시 Z폴드7·Z플립7 사전판매 104만대로 신기록
  • 폴더블 부품주(비에이치, 상보, 인터플렉스 등) 상승
  • 도우인시스는 UTG(초박막유리) 독점 공급업체로서 삼성과 애플 모두와 협업 기대

3. 2차전지/리튬

  • 중국 탄산리튬 선물가격 3개월래 최고치, 일부 광산 감산 영향
  • 중국 공급개혁 정책 예고(9월), 경쟁 완화 기대
  • 리튬포어스, 하이드로리튬, 포스코엠텍 등 국내 소재주 급등
  • 유럽 전기차·미국 ESS 수요 반사효과도 감지

4. 전력/원자력/방산

  •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 ELECTRIC 등은 실적 부진 및 공공입찰 6개월 제한 제재로 하락
  • JPMorgan은 "매출 3~4% 수준 영향, 해외 사업은 영향 미미"라며 평가 유지
  • 원자력 테마주는 글로벌 재정비 시그널과 함께 반등 가능성 모색 중

5. 소비재·K콘텐츠

  • 화장품 수출 개선(7월 1~20일 기준)에도 단기 조정
  • YG PLUS, 블랙핑크 OST 넷플릭스 유통 성공 등 콘텐츠주는 강세
  • 수출 우량 소비재 종목군인 에이피알, 경동나비엔 등도 실적 기반으로 강보합 유지

6. NFT/STO·자동차 부품

  • STO 법안 논의 지연 → NFT/STO 테마 급락
  • 자동차 부품주는 미국향 관세 부담 현실화 + 3분기부터 비용 반영 가능성에 주가 하락

 

■ 시장 전망 & 투자 전략

시장은 지금 '실적 기대'와 '정책 불안' 사이에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습니다.

  • 단기로는 속도 조절 구간. 실적 발표, 미중·한미 통상 협상 결과에 따라 박스권 등락이 이어질 전망
  • 중기 투자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투자전략
대형 성장주 테슬라·알파벳처럼 실적 중심으로 구분 대응
반도체/AI GPU 공급망 이슈 vs 국내 인공지능 인프라 수혜주 선별 필요
전력/방산 단기 변동성 확대되나, 중장기적으로 업황 성장은 유효
2차전지 중국 감산 이슈 반영 후 조정 시 매수 타이밍 모색
소비주/K콘텐츠 수출 개선·실적 확인을 기반으로 계속 관심 유지